[Python 기초] 변수란 무엇인가?

bread._.dev ㅣ 2023. 1. 27. 20:45

인터프리터 실행 방법

변수 설명에 앞서 실습을 위해 인터프리터 실행하는 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.

👉 인터프리터?
프로그래머가 작성한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변환하는 과정 없이 한 줄 해석하여 바로 명령어를 실행하는 언어

즉, 코드를 작성하여 실행하는 것이 아닌 인터프리터로 한줄 한줄 실행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

 

기본 프롬프트에서 실행

01. Window

1. Window키+R키를 눌러 실행창 열기

2. cmd를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

 

3. cmd창이 실행되는데 cmd창에 python 입력하고 Enter

python으로 실행이 안되는 분은python3로 입력해보세요.

위와 같이 >>> 가 나오면 제대로 파이썬 인터프리터가 실행된 것입니다.

 

4. >>> 뒤에 코드를 입력하고 실행할 수 있습니다.

 

02. Mac

1. Launcher 앱에서 터미널을 검색하여 실행

 

2. 터미널에서 python또는 python3을 입력하고 Enter

위와 같이>>>가 나오면 제대로 파이썬 인터프리터가 실행된 것입니다.

 

3. >>> 뒤에 코드를 입력하고 실행할 수 있습니다.

VSCode에서 실행

1. VSCode 실행

 

2. 메뉴에서 터미널 선택 후, 새 터미널 클릭

 

3. 아래 터미널 창이 뜸

 

4. 터미널에서 python 또는 python3을 입력하고 Enter

변수

변수란?

아시다시피, 변수(variable)는 변할 수 있는 것이라는 의미입니다.

파이썬에서 변수란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공간의 이름입니다.

즉, 어떠한 값을 담는 상자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

(변수에 저장되는 값은 계속 달라질 수 있습니다.)

 

여기서 age가 상자(변수)가 됩니다.

주의해야 할 점이 "age는 28이다"라는 의미가 아니라 "age라는 상자(변수)에 28을 담는다"는 의미가 됩니다.

그리고 이것을 변수를 선언한다고 말합니다.

 

실제 파이썬을 작성해 보겠습니다.

아까 실행한 터미널 창 또는 프롬프트로 갑니다. (셸창이라고 합니다.)

>>> 이 뒤에 아래처럼 코드를 입력합니다.

>>> age = 28
>>> print(age)
28
>>> age = 30
>>> print(age)
30

 

실제 Shell창에서 입력한 화면

 

변수의 값을 확인하기 위해 print(age)처럼 print()함수를 이용하여 값을 출력하면 됩니다.

변수 이름

변수의 이름은 아래 규칙에 한해서 마음대로 지으면 됩니다.

👉 영문 문자와 숫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👉 대소문자를 구분합니다.
👉 문자부터 시작해야 하며 숫자부터 시작하면 안 됩니다.
👉 _(밑줄 문자)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.
👉 특수 문자(+, -, *, /, $, @, &, % 등)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.
👉 파이썬의 키워드(if, for, while, and, or 등)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.

변수 이름을 마음대로 지어도 되지만, 변수가 무슨 역할을 하는지 의미 있게 지어야 합니다.

(보통 명사형으로 짓습니다.)

예) 나이: age

타입 확인

변수에 무엇을 담냐에 따라 변수의 타입이 정해집니다.

이 타입을 자료형 혹은 데이터타입(Data Type)이라고 표현합니다.

 

자료형에 대해 간략히 설명을 드리자면,

10  → 이것은 숫자형입니다.

"Hello" → 이것은 문자열입니다.

 

>>> var = 10
>>> type(var)
<class 'int'>

var=10하게 되면 var 변수는 숫자형이 되는 것입니다.

여기서 int는 숫자형을 의미합니다.

 

>>> var = "Hello"
>>> type(var)
<class 'str'>

마찬가지로 var = "Hello" 입력하면 var는 문자열이 됩니다.

여기서 str은 문자열을 의미합니다.

자료형을 확인하기 위해 type()을 사용합니다.

 

자료형에 대해서는 다음 시간에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.

목차